성경의 핵심 단어

그리스도(Χριστός, 크리스토스)

realsoulmate 2025. 4. 11. 11:58
728x90

[대표구절]

"시몬 베드로가 대답하여 이르되 주는 그리스도시요 살아 계신 하나님의 아들이시니이다" (마태복음 16:16)
- 베드로의 신앙고백에서 예수님의 메시아적 정체성을 선언합니다.

"이 모든 일이 된 것은 주께서 선지자로 하신 말씀을 이루려 하심이니" (마태복음 1:22)
- 예수님이 구약에 예언된 메시아임을 확인하는 구절입니다.

"이러므로 이스라엘 온 집은 확실히 알지니 너희가 십자가에 못 박은 이 예수를 하나님이 주와 그리스도가 되게 하셨느니라" (사도행전 2:36)
- 베드로의 오순절 설교에서 예수님의 메시아 됨을 공개적으로 선포합니다.

[의미]
'그리스도'는 히브리어 '메시아(מָשִׁיחַ, 마시아흐)'의 그리스어 번역인 '크리스토스(Χριστός)'에서 온 단어로, '기름 부음 받은 자'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구약시대에 왕, 제사장, 선지자는 기름 부음을 통해 취임했으며, 이는 그들이 특별한 직분을 위해 하나님에 의해 선택되고 능력을 부여받았음을 상징했습니다.

'메시아'는 특별히 구약에서 예언된, 다윗의 후손으로 오실 왕으로서, 이스라엘을 구원하고 하나님의 나라를 세울 자를 가리켰습니다. 이스라엘 백성은 수세기 동안 이 메시아의 도래를 기다렸습니다. 신약에서 예수님은 이 세 가지 직분(왕, 제사장, 선지자)을 모두 완벽하게 수행하시는 참된 메시아로 제시됩니다.

예수님을 '그리스도'로 부르는 것은 그가 단순히 위대한 교사나 종교 지도자가 아니라, 하나님께서 특별히 기름 부으시고 보내신 구원자임을 인정하는 것입니다. 초대 교회는 "예수는 그리스도시다"라는 고백을 중심으로 형성되었으며, 이 고백은 당시 로마 제국에서 "카이사르가 주다"라는 정치적 고백에 대한 혁명적인 대안이었습니다.


존 스토트(John Stott)
 "예수님을 '그리스도'로 고백하는 것은 그가 하나님께서 약속하신 구원자이며, 우리의 왕, 제사장, 선지자로서 완전한 권위를 가지고 있음을 인정하는 것이다." 『그리스도의 십자가(The Cross of Christ)』(1986)


허만 리델보스(Herman Ridderbos)
 "그리스도로서의 예수는 하나님 나라의 현존과 하나님의 구원 계획의 성취를 의미한다. 그는 역사의 중심이며 모든 예언의 성취다." 『하나님의 나라의 도래(The Coming of the Kingdom)』(1962)


D.A. 카슨(D.A. Carson)
 "예수를 그리스도로 고백하는 것은 그가 구약의 모든 소망과 약속의 성취이며, 하나님의 구속 계획의 중심임을 인정하는 것이다." 『마태복음 주석(Matthew Commentary)』(1984)

[묵상]
1. 예수님을 '그리스도'로 고백한다는 것은 그분이 나의 왕, 제사장, 선지자임을 인정하는 것인데, 내 삶의 어떤 영역에서 그분의 이러한 권위를 아직 인정하지 않고 있는가? 어떻게 그분을 내 삶의 모든 영역의 주님으로 모실 수 있을까?

2. 구약의 모든 예언과 약속이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성취되었다는 사실이 내 신앙생활에 어떤 확신과 소망을 주는가? 오늘날의 어려움 속에서도 이 진리가 어떻게 나에게 위로와 격려가 되는가?

728x90

'성경의 핵심 단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은혜(חֶסֶד, 헤세드)  (0) 2025.04.13
구원(יְשׁוּעָה, 예슈아)  (0) 2025.04.13
성령(רוּחַ, 루아흐)  (1) 2025.04.11
예수(יֵשׁוּעַ, 예슈아)  (0) 2025.04.11
여호와(יהוה, 야훼)  (0) 2025.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