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활: 161장 "할렐루야 우리 예수" (마태복음 28장)
[찬송가 정보 및 배경]
"할렐루야 우리 예수"는 19세기 영국의 찬송가 작사가 로버트 로리(Robert Lowry, 1826-1899)가 작사하고 작곡한 부활절 찬송가입니다. 로리는 침례교 목사로서 많은 복음성가와 찬송가를 남겼으며, 이 곡은 1874년에 발표되었습니다.
그는 예수님의 부활이 기독교 신앙의 핵심임을 강조하고자 이 찬송가를 작곡했습니다. 당시 미국 대각성운동의 영향으로 부활의 기쁨과 승리를 강조하는 찬송가가 많이 작곡되었는데, 이 곡도 그 흐름 속에서 탄생했습니다. 로리는 자신이 섬기던 교회에서 부활절 예배를 준비하며 마태복음 28장의 말씀을 묵상하다가 예수님의 부활이 가져다준 승리와 소망을 표현하고자 이 찬송가를 작곡했다고 전해집니다. 그의 다른 유명한 찬송가로는 "내 주는 강한 성이요"와 "주 예수보다 더 귀한 것은 없네" 등이 있으며, 그의 찬송가들은 부활의 기쁨과 소망을 담아 오늘날까지 전 세계 교회에서 불리고 있습니다.
[키워드]
- 부활(Resurrection): 예수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서 죽으신 후 사흘 만에 죽음을 이기고 다시 살아나신 사건으로, 기독교 신앙의 핵심이자 구원과 영생의 소망의 근거입니다.
- 승리(Victory): 예수님께서 죽음과 죄의 권세를 이기고 얻으신 완전한 승리로, 믿는 자들에게 영적 승리와 소망을 가져다줍니다.
- 찬양(Praise): 하나님의 위대하심과 그분의 구원 사역에 대한 감사와 경배의 표현으로, 부활의 기쁨을 노래하는 신앙적 반응입니다.
[찬송가로 읽는 성경]
"할렐루야 우리 예수"는 예수님의 부활이 가져다준 승리와 소망을 노래합니다. 마태복음 28장 6절에서 천사는 "그가 여기 계시지 않고 그가 말씀하시던 대로 살아나셨느니라"라고 선포합니다. 이 부활의 사건은 고린도전서 15장 55절의 "사망아 너의 승리가 어디 있느냐 사망아 네가 쏘는 것이 어디 있느냐"라는 승리의 외침으로 이어집니다.
예수님의 부활은 단순한 역사적 사건이 아닌, 우리 신앙의 핵심입니다. 고린도전서 15장 14절은 "그리스도께서 만일 다시 살아나지 못하셨으면 우리가 전파하는 것도 헛것이요 또 너희 믿음도 헛것이며"라고 말씀합니다. 부활은 우리 신앙의 토대이자 소망의 근원입니다.
찬송가 가사 중 "사망 권세 깨뜨리시고 다시 사신 우리 주"라는 구절은 로마서 6장 9절의 "이는 그리스도께서 죽은 자 가운데서 살아나셨으매 다시 죽지 아니하시고 사망이 다시 그를 주장하지 못할 줄을 앎이로라"와 깊이 연결됩니다. 예수님의 부활은 사망의 권세를 영원히 깨뜨린 사건입니다.
또한 "할렐루야 찬양하세 부활하신 구세주"라는 가사는 요한계시록 5장 12절의 "큰 음성으로 이르되 죽임을 당하신 어린 양은 능력과 부와 지혜와 힘과 존귀와 영광과 찬송을 받으시기에 합당하도다"라는 천상의 찬양과 맞닿아 있습니다.
부활하신 예수님은 마태복음 28장 20절에서 "내가 세상 끝날까지 너희와 항상 함께 있으리라"고 약속하셨습니다. 이 약속은 우리가 어떤 상황에서도 소망을 잃지 않게 하는 힘이 됩니다. 히브리서 13장 8절은 "예수 그리스도는 어제나 오늘이나 영원토록 동일하시니라"고 선언합니다.
부활의 소식은 우리에게 기쁨과 평안을 가져다줍니다. 요한복음 20장 19-21절에서 부활하신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나타나 "평안이 너희에게 있을지어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이 평안은 세상이 주는 것과 다른, 부활의 능력에서 비롯된 참 평안입니다.
사랑하는 여러분, 부활의 주님은 지금도 살아계시며 우리와 함께하십니다. 어떤 어려움과 고난 속에서도 부활의 소망을 붙드십시오. 죽음을 이기신 예수님의 승리는 우리의 승리가 되었습니다. 할렐루야! 우리 예수 부활하셨으니, 우리도 그 부활의 능력으로 새 생명을 살아갈 수 있습니다.
[묵상]
1. 내 삶 속에서 부활하신 예수님의 능력을 경험한 적이 있습니까? 그 경험이 나의 신앙에 어떤 영향을 주었나요?
부활은 단지 과거의 사건이 아니라 오늘 우리 삶 속에서도 경험할 수 있는 실재입니다. 절망적인 상황에서 새로운 희망을 발견했던 순간, 죄의 습관에서 자유를 얻었던 경험, 관계의 회복이 일어났던 사건들을 떠올려보세요. 이러한 경험들이 어떻게 당신의 신앙을 더 깊게 하고, 하나님에 대한 신뢰를 강화시켰는지 생각해보세요. 부활의 능력은 우리의 일상 속에서 계속해서 역사하고 있습니다.
2. "할렐루야 우리 예수"를 부를 때, 나는 진정한 승리자로서의 정체성을 얼마나 인식하고 살아가고 있습니까?
예수님의 부활은 우리에게 승리자의 정체성을 부여합니다. 그러나 우리는 일상의 어려움과 도전 앞에서 종종 이 정체성을 잊고 살아갑니다. 당신은 어떤 상황에서 패배감을 느끼나요? 죄, 두려움, 걱정, 관계의 어려움 등 어떤 영역에서 승리자로서의 정체성을 더 깊이 받아들일 필요가 있습니까? 부활의 능력은 우리가 모든 상황을 다른 시각으로 바라보게 하며, 하나님 안에서 이미 승리했음을 기억하게 합니다.
'찬송가로 읽는 성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9장 "주 달려 죽은 십자가" (0) | 2025.05.23 |
---|---|
218장 "네 맘과 정성을 다하여서" (0) | 2025.05.17 |
104장 "곧 오소서 임마누엘" (2) | 2025.05.17 |
200장 "달고 오묘한 그 말씀" (2) | 2025.05.16 |
8장 "거룩 거룩 거룩" (1) | 2025.05.16 |